비만을 위한 약선

비만 찻물로 지은 오곡밥

런앤힛 2011. 9. 1. 14:05

 오곡밥은 찹쌀을 포함하여 차수수, 차조, 팥, 콩등 다섯가지 곡식을 섞어서 지은 밥이다.

예부터 1년 중 첫 보름달이 뜨는 대보름날을 중시하여 음력 정월 보름날 무사태평과 풍년을 기원하며

오곡밥을 지어 여러 사람들과 나누어 먹었다.

백집에서 얻어 먹는 것이 좋다 하여 백가반(百家飯)이라고도 한다.

 

비만의 밥으로는 잡곡밥이 백미 밥보다 칼로리나 영양면에서 우수 하므로

다이어트시 오곡밥을 해 먹는 것이 효과적일 것 같아

비만차로 달여 낸 액으로 오곡밥을 지었다.

찹쌀이 조금 열이 있지만,비장과 폐가 허한한 사람에게는 좋다.

 

 

1. 비만 차  : 치자, 복령, 황금, 죽엽, 의이인, 삼백초를 모두 잘 씻어서

                 재료 주머니에 담아 물3L를 붓고 끓으면 중불에서 30분 , 약불에서 30분 달인다.

 

 

 2. 달여 낸 주머니는 재탕을 해서 처음 달여 낸 액과 섞어 사용하면 좋다.

3. 다섯가지 곡식을 준비 한다. : 찹쌀 360g(2컵), 콩80g(1/2컵), 차수수80g(1/2컵), 차조80g(1/2컵), 팥80g(1/2컵)

4. 찹쌀은 깨끗이 씻어 일어 물에 30분 정도 불려, 체에 밭쳐 10분 정도 물기를 뺀다.

 

 

 

5. 콩은 3시간 정도 불려서 체에 밭쳐 10분 정도 물기를 뺀다. 차조는 물에 씻어 일어 체에 밭쳐 10분 정도 물기를 뺀다.

6. 차수수는 맑은 물이 나올 때 까지 비벼서 씻고 일어서, 물에 1시간 정도 불린 후, 체에 밭쳐 10분 정도 물기를 뺀다.

 

 

 

 

6. 붉은 팥은 깨끗이 씻어 일어서 체에 밭쳐 10분 정도 물기를 빼고 , 냄비에 팥 데치는 물을 붓고 ,

   센 불에 2분 정도 올려 끓으면 ,팥물을 따라 버린다. 다시 팥에 물을 붓고 (이 때 비만 찻물을 사용 한다.)

   20분 정도 팥이 터지지 않을 만큼 삶아 체에 밭친다.

   팥 삶은 물에 소금을 넣고 밥물을 만든다.

 

 

 

 7. 냄비에 찹쌀, 검은 콩, 차수수, 붉은 팥을 넣고 밥 물을 부어 ,

    센불에 2분 정도 올려 끓으면, 3분 정도 더 끓여 중불로 낮추고, 차조를 넣어 10분정도 더 끓인다.

    쌀 알이 퍼지면 약불로 낮추어 13분정도 뜸을 들인 후 불을 끄고 10 분 정도 더 둔다.

8. 주걱으로 고루 섞은 후 그릇에 담는다.

 

 

 

 

 

찹쌀 (나미) : 감, 온/ 비, 위, 폐

                   보중익기, 건비지사, 난위, 허한 설사

                   찹쌀은 소음인에 적합. 만성 적인 위염, 위궤양에 좋다.

수수(고량) :   감, 삽, 온/ 비, 위경

                    익기온중, 건비익위, 당뇨병 환자는 피한다.소음인 에게 좋다.

좁쌀(속미) : 감, 함, 량/ 비, 위, 신경

                  건비화위, 화중익신, 자음 퇴열, 소양인에 좋다.

검정콩(오두, 흑두) : 감, 평/ 비, 위

                  보혈활혈, 제습이수, 보신자음

팥(적소두) :감, 산, 평/ 심, 소장경

                 이수제습, 소종, 퇴황, 이수 기능이 강해서 음허자는 복용을 신중히.

                 비만에 좋은 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