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정보

[스크랩] 시골건간밥상-호박의 영양성분은?

런앤힛 2010. 5. 13. 22:49

호박

  호박은 중앙아메리카 또는 멕시코 남부의 열대지방을 원산지로 하여 고온다습한 지대에 적응하여 온 동양계 호박과 서양계 호박 및 폐포계 호박 등 3종이 있다. 그중 우리나라는 동양게 호박인 불암, 사철애호박, 서울다다기, 서울마디호박 등이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서양계 호박으로는 후바드, 딜리셔스 등도 있다. 호박은 박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덩굴형이다. 전신에 흰 털이 밀생하고 있으며 잎은 하트형이다. 동양계 호박은 과육이 황색이고 육질은 점질의 것이 많으나 서양계 호박은 방추형, 평원형 등이다. 호박은 품종에 따라 생산되는 열매의 크기, 색 및 모양이 다양하며, 열매는 보통 백색, 녹색 또는 황색이다. 열매는 둥글고 납작한 것, 곤봉모양, 또는 목이 굽거나 곧은 것으로 나눈다.

  개량종 애호박은 수분 95.0%, 단백질 2.0%, 탄수화물 1.9%이고, 단호박은 수분 82.7%, 단백질 1.2%, 탄수화물 15.0%, 식이섬유 0.8%, 회분 0.9%다. 단호박은 당질이 많아서(그중 1/3은 설탕) 좋은 칼로리원이 되는 식품으로, 특히 카로텐은 담황색의 것이 2.0mg%, 진한황색의 것이 6.7mg%나 나 가지고 있어 비타민A의 효력이 크며(2,000 I.U./100g), 주로 피부에 들어있고, 비타민 C도 20mg%나 되며 저장성이 있어서 동지호박이라고도 부른다. 겨울철 비타민 A와 C의 부족기에 좋은 공급원이 되고 있다. 호박에는 전체적으로 Na이 6.1mg%, K이 113.6mg% 들어있고 과피에는 각각 7.7, 157.5mg%, 과육에는 각각 4.7, 79.1mg% 들어있다.

  호박종자의 발아동안 지질중 중성지방은 감소하였고 유리지방산 함량은 증가하였다. 지방분해효소활성은 발아 5일째 최대값을 보였으며 전분분해효소활성은 발아 5일까지 증가하였다.

  특수성분으로는 외피부분에 아스코르브산 산화효소가 있어서 비타민 C의 파괴가 생길 수 있으나 이 효소는 열에 약하여 조리할 때 곧 불활성화된다. 또 호박의 씨는 단백질과 지방(27.4%)이 풍부하여 식용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어린 호박은 나물전이나 절단하여 말렸다 이용하며 익은 호박은 엿, 떡, 죽 등을 만들어 먹는다.

출처 : 시골(건강)밥상
글쓴이 : 보물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