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 - 애엽(성질이 따뜻, 약쑥) 과 인진호(성질이 약간 차갑다)로 구분
1) 애엽 - 성질이 따뜻하여 몸이 냉한 사람에게 쓰는데, 손발이 차고 복부가 냉한 사람, 여성의 월경불순이나 월경통, 대하증, 불임증, 위장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2)인진쑥 - 간 기능을 도와주어 피로회복을 빠르게 한다. 또한 습열을 제거해 주기 때문에 황달을 치료해 주며 소변이 황색으로 잘 나가지 않는 것을 치료해 준다.
쑥을 애엽이라고 하며 몸이 냉한 사람에게 사용하는데, 추위를 심하게 타는 사람이 쑥을 오래 먹으면 추위를 타지 않고 몸이 차서 일어나는 복통과 설사에도 효과가 있다. 특히 위장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쑥은 소음인에게 좋은 식재로 양기를 북돋워 주고 비타민과 칼슘이 풍부하다.
|
쑥엑기스는 대개 임상적으로 많이 알려지고 검증된 식품으로, 시중에서 엑기스로 구입 할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엑기스를 뽑을 수도 있겠지만 액상으로 나오는 쑥엑기스를 이용 해 봅니다.
1. 전을 부칠 밀가루에 소금 간 약간 하고 바로 쑥엑기스로 반죽합니다.
2. 농도는 원하는 만큼 쑥엑기스를 가감하며 만듭니다.
3. 강화도산 약쑥이라고 표지에 쓰여있네요.
4. 반죽에 사용할 야채를 잘게 자르고 다집니다.
냉장고에 있는 야채를 넣으면 되겠습니다.
5. 한 입크기로 전을 부쳤습니다.
색이 곱고, 맛은 ...향기도 있고 , 고소한 맛, 담백한 맛...생각지 못하게 좋은 맛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6. 쓴 맛이 있을 거란 통념을 깨고 , 쑥엑기스는 멋지게 변신했습니다.
그래서 밥물로도 당장 이용해 보았습니다.
7. 맛을 본 사람들의 반응은 ...
고소하다, 참기름을 넣었느냐? , 향긋하고 깔끔한 맛은 무었이냐? 약간 달콤하다 .혹시 약밥이 아니냐? 등..
8. 몸을 생각해 복용하던 약이나 엑기스들도
끝까지 그 효능이 나타 날 때 까지 꾸준히 먹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먹다가 팽개쳐 둔 쑥 엑기스..맛도 좋고 몸에는 더 좋은 음식으로 형태를 개선.
맛있는 약선 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해 봅니다.
'약선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선 샐러드 (0) | 2011.11.16 |
---|---|
따라 해 본 단감 샐러드 (0) | 2011.11.14 |
남자 한테 참 좋은 산수유 나박김치 (0) | 2011.10.31 |
두부 미역전 (0) | 2011.10.25 |
약선 간식- 산약 단호박 샐러드 (0) | 2011.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