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선음식

아욱바지락국

런앤힛 2011. 2. 9. 22:31

약선명 (분류명)

아욱바지락국

기대효과

청열이습

적용대상

습열이 함께 성한 아토피환자

재료 및 분량

( 인분기준)

아욱50g, 된장2Ts, 바지락100g, 멸치 한웅큼, 다시마 1장(가로 세로10cm), 국간 장 조금, 다진마늘1/2Ts, 대파 1/2대

조리과정

1. 멸치와 다시마로 육수를 낸다.

2. 바지락은 잘 씻어 소금물에 해감 시켜 두었다가 한 두 컵 분량의 물을 붓고 살 짝 끓여 식혀서 가라앉혀두고

3. 아욱은 줄기를 꺽어 껍질을 벗겨 내어 다듬어서 바락 바락 주물러 씻어 풋내와 녹즙을 빼고

4. 멸치육수에 가라앉힌 바지락 국물을 같이 끓여서 된장을 풀어서 끓으면, 아욱과 다진마늘, 파,를 넣고 한소끔 더 끓인다.

5. 충분히 끓인 된장국에 익혀둔 바지락을 넣어 담아 낸다.

용법 및 주의사항

동규엽은 寒潤滑利하므로 비허변당자나 孕婦는 신용한다.

재료의 性能

재료명

본초명

(性)

(味)

귀경

(歸經)

구성비

(%)

효능

주요성분

및 작용

아욱

동규엽

폐,대소장

청열,이습,활장

된장

-

비,위,신

해열제번,해독

다시마

곤포

간,비,신

청열,이수퇴종

바지락

문합육

위경

화담거습작용

타우린, 고혈압,뇌일혈에 도움

方解

(레시피해설)

아욱은 청열(주로 내열을 치료),이습 효능 이외에도 통변을 원활하게 활장 효능이 있어 대변비결(변비)증상이 있는 습열 구성 유형의 환자에게 주효하며, 바지락은 조개류 중에서 단백질이 아주 많아서 소화흡수도 잘 되고 간장에 부담을 주지 않 기 때문에 병후 회복기나 어린이 노인들에게 좋다.

자료 사진